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회사 직급체계 : 직위, 직급, 직책 차이 알아보기

by 자유로운별나라 2024. 11. 17.

 

사회초년생들은 회사의 직급 순서나 체계가 많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회사들이 수평적인 문화로 나아가기 위해 호칭을 간략화하고 이름에 님을 붙여 이야기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회사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공직적인 외부업무를 할 시에는 직위 직급을 언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지는 않더라도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오늘은 회사 직급체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회사 직급체계 : 직위, 직급, 직책 차이 알아보기
회사 직급체계 : 직위, 직급, 직책 차이 알아보기

 

직위, 직급, 직책 차이는?

1) 직위

  • 직위는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승진체계입니다. 직장에서 우리의 서열을 나타내는 위치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직위는 흔히아는 사원, 주임, 대리, 과장, 부장 등이 있습니다. 

2) 직급

  • 직급은 직무상의 등급, 급수를 말합니다. 직책에는 책임, 지휘권한이 있지만 직급은 이런 권한은 없습니다. 
  • 회사에서는 호봉, 년차로 사용되고, 공무원, 생산직 대기업에서 직급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7급 3호봉, 3년차 과장님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직책

  • 직책은 직무상의 책임, 팀을 지휘할 수 있는 지휘권을 부여받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 남자분들은 쉽게 군대에서 중령은 계급이나 직위로 생각하면 되고, 대대장은 직책을 의미합니다.
  • 직책은 회사별로 다양하며 파트장, 팀장, 실장, 본부장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회사 직급 순서는?

1) 일반적 직위(직급) 순서

사원 > 주임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2) 임원직 직위(직급) 순서

이사 > 상무 > 전무 > 부사장 > 사장 > 부회장 > 회장

 

 

이사부터는 임원으로 칭하게 됩니다. 대부분 계약직으로 진행이 되지만, 좋은 혜택과 급여가 보장되기 때문에 별을 달았다고도 표현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차 근무시간 : 오전 반차, 오후반차 시간 알아보기

반차시간이 헷갈리시나요?  오전 9시에 출근해서 오후 1시에 퇴근하는 식이지요.그런데, 이 시간이 맞을까요? 단순히 4시간을 일한 후 바로 퇴근하는 것만으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법

goodtrip.homefel.com

 

똥 꿈해몽 : 똥에 관련된 꿈 모아보기

똥이 나오는 꿈은 주로 재물, 건강, 또는 감정적인 해방과 관련된 상징으로 해석됩니다.  똥은 일상에서 불필요한 것을 버리는 과정의 일환으로, 꿈에서 똥이 등장하는 것은 물질적인 풍요나 스

goodtrip.homefel.com

 

삼악산 등산코스, 최단코스 및 케이블카 알아보기

삼악산 등산 코스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3가지 코스 정보와 최단코스 케이블카 정보 및 예약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삼악산 케이블카 예약 바로가기 삼악산 등산코스 - 코스13.

goodtrip.homefel.com

 

1. 직위(Position)

직위는 조직 내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위치를 의미합니다.

주로 조직도 상에서 개인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한국에서의 예: 사원, 대리, 과장, 부장, 이사

해외에서는 "Job Title"로 표현되며, 구체적인 역할을 나타냅니다. 예: Analyst, Manager, Director, Vice President (VP), Chief Executive Officer (CEO)

 

2. 직급(Rank)

직급은 회사 내에서 개인의 계급이나 계층을 나타냅니다.

동일 직위라도 직급에 따라 권한과 보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호봉이나 급수에 해당합니다. 예: 3급 공무원, 5급 엔지니어

해외에서는 Band/Grade/Level이라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예: Level 5 Engineer, Band 7 Employee

 

3. 직책(Role)

직책은 개인이 수행하는 책임과 역할을 의미합니다.

특정 프로젝트나 팀을 이끄는 임무를 부여받았을 때 부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에서는 팀장, 실장, 부서장 같은 명칭이 직책입니다.

해외에서는 Functional Role로, 특정한 책임을 맡은 타이틀을 의미합니다. 예: Team Leader, Project Manager, Department Head